반려동물 커뮤니티 서비스 Pet Talk 🐣

1. 서비스 개요 및 필요성

                               오늘의집 2022년 유저 대상 설문조사

                           오늘의집 2022년 유저 대상 설문조사 

반려동물 시장 규모

국내에서는 2300여 만의 가구 중 약 638만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며, 반려동물 인구는 2021년 1,5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한국인 4명 가운데 1명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입니다. 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매년 평균 14.5%씩 성장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2015년 1조 9000억 원 규모에서 올해 4조 5786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가오는 2027년에는 6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반려동물 커뮤니티에 대한 설문조사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반려동물 커뮤니티에 대한 설문조사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사용이유에 대한 설문조사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사용이유에 대한 설문조사

서비스 개발의 필요성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 공간에서 커뮤니티를 통하여 정보를 얻는 사용자의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이렇듯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커뮤니티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 또한 확대되고 있습니다.

펫톡(Pet Talk)”은 반려동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사용자로 하여금 반려동물과의 일상을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에 의의를 둡니다. 기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의 반려동물 컨텐츠의 성장을 계기로 반려동물 커뮤니티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였습니다. 다른 반려동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제공하는 부수적인 기능(커머스, 이벤트 등)들을 배제하고 사용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크 형성에 집중하여 커뮤니티 서비스로서의 차별성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펫톡(Pet Talk)”의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2. 서비스 시장 조사

2.1. 시중의 반려동물 서비스 앱에 대한 조사

ex 1) 포동(구 퍼피유)

정보 반려견을 타겟으로 한 커뮤니티 서비스
특징 커뮤니티, 반려견의 성향 분석, 훈련 정보, 이벤트, 마켓 기능이 존재합니다.
장점 커뮤니티 외에 애견 미용실, 병원, 애견 카페, 유치원 등 강아지를 위한 공간의 정보나 퍼피 매칭 서비스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광고성 글이 적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점 견주들에게만 유용한 서비스가 많아, 강아지 외에 다른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을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IMG_4767.jpg

ex 2) 디어테일

정보 강아지 맞춤 쇼핑 앱
특징 시중의 의류 쇼핑 앱을 강아지 쇼핑 앱으로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특징입니다.
장점 50만 견종 데이터를 분석하여 견주가 반려견 용품 쇼핑 시 맞춤 추천해주어 유용합니다.
단점 강아지에 한해서 쇼핑 가능합니다.

Untitled

ex 3) 피피

정보 강아지 맞춤 우리 동네 펫 커뮤니티
특징 당근과 비슷하게 초기 로그인 시 동네를 설정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유기견에 대한 정보가 많습니다.
장점 자주 보고 싶은 동물 친구를 팬으로 등록하여 사진 및 영상을 골라 볼 수 있으며, 지도 기능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를 선택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
단점 견주들에게 국한된 서비스, 동네를 등록한 후 서비스를 이용가능 하기 때문에 사는 동네에 따라 커뮤니티 규모가 다를 수 있습니다.

IMG_4772.jpg

ex 4) 모두의 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