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Keep - 좋았던 점 중에서 다음에도 유지하고 싶은 것들을 적어주세요. Problem - 아쉬웠던 점에서 실제로 문제로 발생했던 것들을 적어주세요. Try
</aside>
<aside> 🔥
Keep
</aside>
기획
프로젝트 관리
코드리뷰
팀 문화
배려하는 모습
서로 의견이 겹치거나 그런 모습이 있을 때 초반에는 서로의 주장이 강해 이해를 못해주는 모습이 간간히 보였으나 프로젝트가 진행하면서 서로 존중하고 어떤 안건이 있을 때 자신의 생각보다 프로젝트를 위해, 팀을 위해 먼저 다른 사람의 말을 들어주려 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었다.
스크럼의 중요성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놓치지 말자고 서로 다짐했던 것 중 하나는 스크럼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코어타임이 시작하기 전 시작 스크럼, 끝나기 전 종료 스크럼을 진행 해서 어제 진행 상황과 문제 해결, 의견 제시를 할 수 있는 시간이 항상 생겼고 끝나기 전 스크럼으로 오늘 무엇을 했고 기한 내 진행 상황에 차질이 생길 시 다른 팀원들도 바로 알고 진행이 원활하게 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소통의 원활화
팀의 의사결정 부분을 회의를 통하여 계속해서 결정하였고 각자의 생각을 공유하고 같이 해결을 해나가는 경우가 많았기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나 혼자만 하는게 아니라 다른 사람과 함께 진행 할때의 차이점을 배웠다. 서로의 코드를 확인하며 개인이 아닌 우리의 코드를 만들게 되었다.
슬랙
만약 빠르게 공유되거나 처리되어야 할 문제가 있다면 슬랙을 통해서 신속하게 공유했다.
노션
<aside> 🔥
Problem
</aside>
기획
디테일의 부족
기획을 할 때, 세세한 기능을 생각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특히나 기획만으로 기능을 구체화 할 때는 그 기능을 위한 숨은 의존성에 대해서 통찰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고 따라서,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을 다시 회의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많이 소요하게 되었다.
개발
개발 기능의 분리
개발에 있어서, 의존성이 있는 부분을 한 사람이 맡아서 개발하는게 더 좋을 것 같은데 이러한 역할 분리가 미숙하여서 의존성이 있는 부분을 여러 사람이 맡는 일이 생겼고, 따라서 개발해야할 기능이 모호해지고, 개발 시 혼란스러워지는 점이 있었다.
코드에 대한 고민
구현하지 못한 요구사항
UI/UX 디자인
구체화의 중요성
와이어 프레임으로 진행을 하면서 세세하게 페이지 이동을 해야하는 부분을 놓치거나 모달이나 흐름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못하여 진행을 하면서 임의로 정해야 하는 부분들이 꽤 있었기에 개발을 하면서 이 부분에 대해 또 정해야 할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코드리뷰(PR)
짧은 시간의 아쉬움
시간이 지날 수록 코드 리뷰에 들이는 시간을 짧게 할 수 밖에 없어서 코드를 꼼꼼하게 볼 수 없었다. 그래서 코드를 대강 확인하고 approve 해버리는 바람에, 이 후에 머지된 코드에서 바뀐 부분을 파악하지 못해서 시간을 들일 때도 있었다.
<aside> 🔥 Try
</aside>
기획
명확한 세부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시작해야 한다.
명확한 타겟층과 사용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주요 기능들과, 로고, 색상, 그림자 그리고 와이어 프레임이 나오며 그러한 세부 스텝을 설정하여 시작을 하면 개발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거라 생각한다.